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1

2023년 12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고용노동부에서는 2023년 12월 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자료를 공개하였습니다. 해당 자료는 게시글 하단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12월 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 발생건수 : 584건 사망자수 : 598명 발 생 건 수 사 망 자 수 건설업 297건 건설업 303명 제조업 165건 제조업 170명 기타의 사업 75건 기타의 사업 78명 운수·장고·통신업 17건 운수·장고·통신업 17명 농업 14건 농업 14명 임업 7건 임업 7명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7건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7명 그 외 2건 그 외 2명 주요 특징 발생건수는 건설업(50.9%), 제조업(28.3%), 기타의 사업(12.8%) 순으로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 사망자는 건설업(50.7%),.. 2024. 3. 7.
안전관리자와 안전보건조정자 자격이 확대됩니다. 정부는 3월 6일(수) 국무회의에서 고용노동부 소관 법령인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이번 개정은 현장 실무경험을 갖춘 안전관리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용노동부 보도자료는 게시글 하단에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안전관리자와 안전보건조정자 자격 확대시행령 개정안 주요 내용 비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교육 신설비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교육 신설 공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공학 또는 자연과학 분야 학위를 취득한 후 건설업을 제외한 사업에서 실무경력이 5년 이상 있는 사람으로서 안전관리자 양성교육을 이수한 사람을 안전관리자의 자격범위에 추가했다. 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교육 기한 연장 건설업 안전관리자.. 2024. 3. 7.
2024년 2월 중대재해사이렌 자료 모음 고용노동부에서는 '24년 2월 중대재해사이렌 자료를 공개하였습니다. 각 현장에서는 자료 확인하시고 산업재해 예방 활동에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중대재해사이렌 자료는 게시글 하단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2월 중대재해 사이렌 공개자료 현황 (2. 29. 기준 ) 중대재해 발생 알림 자료 (35건) 계절․시기별 위험 예방자료(3건)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 2024년 중대재해사이렌 자료 모음 다운로드 ▼ 2023년 9월말 산업재해 현황 2023년 1월 ~ 9월까지 산업재해현황(재해조사대상 사망사고 기준)입니다. 2023년 1월 ~ 9월 산업재해 현황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 발생건수 : 449건 사망자수 : 459명 발 생 건.. 2024. 3. 5.
건설현장 추락사고 여기서 발생합니다. 고용노동부는 중소규모 건설현장 산업재해를 야기하는 12대 사망사고 기인물을 선정하여 중점 점검하고 있습니다. '건축 ‧ 구조물'에서는 단부‧개구부, 철골, 지붕, 비계‧작업발판, 사다리, 달비계, 이동식 비계, 거푸집‧동바리 '기계 ‧ 장비'에서는 굴착기, 고소작업대, 트럭, 이동식 크레인 고용노동부에서 12대 기인물 중 트럭, 굴착기, 이동식 크레인을 제외한 9가지 기인물 관련 예방 포스터를 제작하고 배포하였으니 각 현장에서는 업무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해당포스터는 제일 하단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추락사고 여기서 발생합니다. ▼건설현장 추락사고 여기서 발생합니다 포스터 다운로드 ▼ 2023년 9월말 산업재해 현황 2023년 1월 ~ 9월까지 산업재해현황(재해조사대상 사망사고 기준).. 2024.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