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1 건설기술진흥법상 정밀안전점검 건설기술진흥법상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가 안전관리계획에서 정한 시기에 건설안전점검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정기안전점검 결과 결함의 발견 시 보수 또는 보강 등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여 기본조사와 추가조사를 통해 점검결과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정밀안전점검 점검방법 정밀안전점검 점검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기안전점검 결과 물리적·기능적 결함 발견 시 실시하며 건설안전점검기관을 통해 점검받습니다. 정밀안전 점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조물 및 가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구조계산 구조물 및 가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내하력시험 점검대상물의 문제점 파악 정밀안전점검 점검항목 정밀안전점검 점검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조사 : 콘크리.. 2023. 4. 20. 건설기술진흥법상 정기안전점검 건설기술진흥법상 정기안전점검은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가 안전관리계획에서 정한 시기에 건설안전점검기관에 의뢰해 실시하는 점검으로 발주자는 건설공사의 규모와 기간, 현장 여건에 따라 안전관리계획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점검시기와 횟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건설기술진흥법상 정기안전점검 점검사항 건설기술진흥법상 정기안전점검 시 점검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점검실시는 건설안전점검기관에서 실시합니다. 점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사목적물의 안전시공을 위한 임시시설 및 가설공법 안전성 공사목적물의 품질, 시공상태 등의 적정성 인접건축물, 구조물의 안전성 등 공사장 주변의 안전조치 적정성 이전 점검 시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 확인 건설기술진흥법상 정기안전점검 점검항목.. 2023. 4. 19. 건설기술진흥법상 자체안전점검 건설기술진흥법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와 규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자체안전점검입니다. 자체안전점검은 건설현장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모든 작업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건설기술진흥법상 자체안전점검은 건설업자나 주택건설등록자가 공사기간 중 매일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점검으로 점검사항은 안전관리계획서에 따라 실시합니다. 건설기술진흥법상 자체안전점검 점검방법 실시범위 : 가설공사, 토공사, 기초공사, 콘크리트공사, 방수 및 차수공사, 해체공사 실시주기 : 매일 공종별 실시 점검실시자 : 안전관리총괄책임자의 총괄하에 안전관리담당자의 지휘로 협의체 구성원이 실시 점검요령 : 안전.. 2023. 4. 18. 건진법상 안전점검 종류 및 수행기관 지정방법, 실시절차 건진법상 안전점검이란, 건설공사 등에서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 안전한 건설공정을 유지하기 위해 시공 전, 중, 후에 필요한 안전 조치를 계획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러한 안전점검은 건설공사뿐만 아니라 산업체, 공장 등에서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건진법상 안전점검의 종류 건진법상 안전점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전점검은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으로 분류됩니다. 건진법상 안전점검은 자체안전점검, 정기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 초기점검, 공사 재개 전 안전점검이 있습니다. 2023. 4. 17.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