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1 직업 트라우마 센터 서비스 내용 직업 트라우마 센터 사업은 대형산업사고, 동료의 자살, 직장 내 괴롭힘, 직장 내 성희롱ㆍ성폭행 등 충격적인 사고를 경험하거나 목격한 노동자가 외상 후 스트레스(트라우마) 증상을 극복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직업 트라우마 센터 사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직업 트라우마 센터 사업 설치ㆍ 운영 서비스내용 직·간접 사고 피해자의 심리 안정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예방 일상ㆍ직장 생활 복귀 도모 사고 충격에 따른 심리안정 지속 관리 필요시 전문적인 치료 연계 전문가 구성 상담심리사, 전문상담사, 임상심리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등 심리상담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ㆍ운영 운영시간 센터별 상이 (탄력적 운영) 직업 트라우마 센터 현황 직업 트라우마 센터는 전국 13개 운.. 2023. 7. 28. 근로자건강센터(분소) 이용 대상 및 서비스 내용 근로자건강센터(분소) 설치ㆍ운영의 목적은 근로자 건강관리에 취약한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건강 관리지원을 위하여 “근로자건강센터(분소)”의 설치ㆍ운영으로 근로자 질병상담 등 다양한 직업건강서비스를 제공하여 근로자 건강보호에 기여하는 데 있습니다. 근로자 건강센터(분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자 건강센터(분소) 이용 대상 및 서비스 내용 이용대상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되 건강관리에 취약한 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를 우선적으로 지원 서비스 내용 근로자 건강(질병) 상담실 운영(근로자 건강에 대한 모든 상담, 건강진단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및 상담, 직무스트레스 상담, 업무 적합성 평가 등) 직업환경(작업관리) 상담실 운영 근골격계질환 예방실 운영 뇌ㆍ심혈관질환 예방실 운영 심.. 2023. 7. 28. 밀폐공간작업 보유 사업장 질식재해예방 지원 밀폐공간이란? 출입이 제한되어 있어 근로자가 상시 출입하지 않는 공간으로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 결핍(산소 농도가 18% 미만인 상태)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 또는 인화성물질에 의한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합니다. 밀폐공간은 반드시 산소 결핍 상태이거나 유해가스로 차 있는 상태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근로자가 상시 거주하지 않는 공간이면서 환기가 불충분하여 유해가스, 불활성 기체가 존재하거나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도 밀폐공간으로 분류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밀폐공간작업 보유 작업장 질식재해예방 지원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밀폐공간작업 보유 작업장 질식재해예방 지원 사업 목적 및 대상 사업목적 콘크리트 양생작업 현장, 맨홀, 정화조, 오폐수처리장 등의 밀폐공간에서 발생하.. 2023. 7. 27.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지원절차 「중대재해처벌법」의 확대 시행(24.1.27.)에 대비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취약하거나, 구축 희망업체(시공능력순위 200위 밖 종합건설업체 및 전문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을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컨설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컨설팅 사업 목표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컨설팅 사업의 목표는 안전보건관리체계의 7가지 핵심요소 확인ㆍ개선을 통해 본사와 자율안전 관리체계를 구축 지원하여 전사적 사망사고 예방체계 확립에 있습니다.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컨설팅 지원대상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컨설팅 사업의 지원 대상은 시공능력순위(토건) 1~200위에 해당하지 않는 종합건설업체, 전문건설 업체 중 사망사고 발생 등 안전관리 취약 또는 .. 2023. 7. 27.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