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1 위험성평가의 방법 - 체크리스트법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체크리스트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크리스트법 체크리스트 위험성평가 방법은 평가대상에 대해 미리 준비한 세부 목록을 사용하여 위험성평가를 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각 항목에 대해 “○” 또는 “×” 등으로 표시하여, 목록에 제시된 유해 · 위험 요인의 위험성이 우리 사업장에서 허용가능한 수준의 위험인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체크리스트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체크리스트의 작성이므로, 법령, 고시 및 지침을 참고하고 경험이 많은 사람.. 2023. 9. 20. 위험성평가의 방법 -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은, 위험성 결정을 위해 유해 · 위험요인의 위험성을 가늠하고 판단할 때, 위험성 수준을 “상 · 중 · 하” 또는 “고 · 중 · 저” 와 같이 간략하게 구분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위험성의 수준을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유해 · 위험요인 파악 무엇을 평가하여야 하는지: 위험성평가의 대상 기존에 작성한 글 “위험성평가의 대상” 부.. 2023. 9. 19. 위험성평가의 방법 - 위험성평가의 수행체계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위험성평가의 수행체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성평가의 수행체계 위험성평가의 수행체계는 어떻게 구성하여 운영하나요? 위험성평가 수행체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며, 다음 주체들에게는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및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관리감독자(부서장, 현장감독자) 대상 작업의 근로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란? 법령상 위험성평가는 사업주의 책임이.. 2023. 9. 15. 위험성평가 근로자 참여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 · 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실시할 때 근로자의 참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성평가 근로자의 참여 사업주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 각 절차에서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합니다. 위험성평가에 참여하여야 하는 근로자는 위험성평가를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가장 잘 아는 근로자”입니다.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바로 그 작업에 대해 가장 잘 아는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위험성평가에 어떤 근로자가.. 2023. 9. 13.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