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1 위험성평가의 도입 배경 (해외선진국 사례)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 · 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위험성평가를 하려면 예상되는 위험이 얼마나 중대한지(강도),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빈도), 산업재해나 아차사고 사례가 있는지, 근로자의 의견은 어떤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도입 배경 중 해외선진국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위험성평가의 도입 배경 해외선진국 사례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은 70년대부터 규제와 처벌의 한계를 인식하고, 「자기 규율 예방체계」를 구축하여 사고사망만인율을 획기적으로 감축하였습니다. 정부가 제시하는 하.. 2023. 9. 7. 산업현장 유형별 용어 정리 이번 글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 재해유형 용어 떨어짐 :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구 명칭 : 추락) 넘어짐 :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짐(구 명칭 : 전도) 깔림·뒤집힘 : 물체의 쓰러짐이나 뒤집힘(구 명칭 : 전도) 부딪힘 : 물체에 부딪힘(구 명칭 : 충돌) 물체에 맞음 : 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구 명칭 : 낙하·비래) 무너짐 : 건축물이나 쌓인 물체가 무너짐(구 명칭 : 붕괴·도괴) 끼임 :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구 명칭 : 협착) 절단․베임․찔림 : 칼 등 날카로운 물체 또는 톱 등의 회전날 부위에 절단되거나 베어짐 감전 : 전기가 흐르는 전.. 2023. 9. 6. 2023년 상반기 산업재해 발생현황(발생건수 및 사망자수) 고용노동부는 2023년 6월 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6월 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 발생건수 : 284건 사망자수 : 289명 2023년 6월 말 산업재해 발생건수 업 종 건 수 업 종 건 수 건설업 145 제조업 80 기타의사업 38 운수창고통신업 7 임업 6 농업 4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2 그 외 2 2023년 6월 말 산업재해 사망자수 업종 사망자수 업종 사망자수 건설업 147 제조업 81 기타의 사업 40 운수창고통신업 7 임업 6 농업 4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2 그 외 4 2023년 6월 말 건설업 공사금액별 발생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1 ~ 20억 36 1억 .. 2023. 9. 6. 건설업 사망재해 다발 작업공종 - 상ㆍ하수도 공사(무너짐, 부딪힘, 맞음) 건설업 사망재해 다발 작업공종 중 11가지 공종의 사고발생 원인과 예방대책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설업 사망재해 다발 작업공종 중 상ㆍ하수도 공사의 사고발생과 예방대책에 대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상ㆍ하수도 공사 중 무너짐과 부딪힘, 맞음에 대한 사고발생과 예방대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ㆍ하수도 공사(무너짐, 부딪힘, 맞음)의 재해 발생 원인과 예방대책 사망재해 발생 굴착면 기울기 기준 미준수 신호수 미배치 줄걸이 방법 불량 사망재해 예방 대책 관로 부설을 위한 지반 굴착 시 굴착면 기울기 기준을 준수하여 토사 붕괴를 방지 도로포장을 위한 건설기계작업 시에는 신호수를 배치하여 부딪힘 재해를 예방 관로 운반 시 2줄 걸이로 균형을 잡고 운반하여야 하며 양호한 상.. 2023. 8. 30.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