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9 겨울철 한랭질환 예방가이드 겨울철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예방가이드와 가이드의 주요 내용을 그림 등으로 쉽게 작성한 퀵가이드(Quick Guide) 및 사업장 자체점검표를 게시하오니 사업장 게시, 사전 점검 등 근로자 건강보호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고용노동부) 아래에서 한랭질환 예방가이드 자료 확인 및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겨울철 한랭질환 예방가이드 한랭질환 예방 수칙 포스터 아래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세요 겨울철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예방가이드 아래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세요 한랭질환 예방 자율점검표 아래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세요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보건길잡이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보건길잡이를 게재하오니 각 건설현장에서는 동절기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고용노동.. 2023. 11. 23. 혹한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 항목 한시적 확대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현장 등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말합니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발주자에게 공사종류 및 규모에 따라 일정 금액을 도급금액에 별도 계상하고, 시공자는 계상된 금액을 건설공사 중 안전관리자 인건비, 안전시설비, 안전보건진단비 등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아래에서 혹한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 항목 한시적 확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혹한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 항목 한시적 확대 혹한기 기간(12월 ~ 2월) 건설현장 옥외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보호구 물품 관련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운영기준을 알려드리니, 건설현장 점검 · 감독 또는 건설 재해예방전문 지도기관 등을 활용하여 아래 내용을 적극 전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부 해당 공문은 아래 파.. 2023. 11. 23. 위험성평가의 방법 - 빈도 · 강도법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 활용)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빈도·강도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빈도·강도법은 우리 사업장에서 파악된 유해·위험요인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위험성의 빈도(가능성)와 강도(중대성)를 곱셈, 덧셈, 행렬 등의 방법으로 조합하여 위험성의 크기(수준)를 산출해 보고, 이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여부를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https://kras.kosha.or.kr)에서 기존에 5단계 방법이라는 이름으로 위험성평가 과정을 도와주고.. 2023. 10. 20. 위험성평가의 방법 - 핵심요인 기술법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핵심요인 기술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인 기술법 핵심요인 기술법은 영국 산업안전보건청(HSE),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위험성 수준이 높지 않고, 유해 · 위험요인이 많지 않은 중 · 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를 위해 안내한 내용에 따른 방법입니다. 단계적으로 핵심 질문에 답변하는 방법으로 간략하게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방법입니다. 전등교체, 부품교체 등 유해·위험요인이 적고 간단한 작업에 대해서는 한 장으로 위험성평가 내용을 기록.. 2023. 9. 21.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