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안전145

'23 ~ '24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가이드 배포 고용노동부에서는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가이드 및 퀵 가이드를 배포하였습니다.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12월~3월) 옥외작업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예방수칙 안내, 준수 등 각 현장에서는 참고하여 활용하시면 됩니다. 자료는 제일 하단에서 다운 받아 사용하세요 미세먼지 정의 및 발령기준 미세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 입자로, 크리게 따라 미세먼지(PM;지름 10μm이하)와 초미세먼지(PM;지름 2.5μm이하)로 구분합니다. 특히, 겨울철(12월 ~ 3월)은 대륙고기압 영향(대기정체 심화)으로 미세먼지 고농도 상황이 자주 발생하며, 이들 먼지는 매우 작아 숨 쉴 때 폐포 끝까지 들어와 바로 혈관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발생원 자연 발생원 : 흙먼지, 식물꽃가루 등.. 2023. 12. 12.
혹한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 항목 한시적 확대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현장 등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말합니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발주자에게 공사종류 및 규모에 따라 일정 금액을 도급금액에 별도 계상하고, 시공자는 계상된 금액을 건설공사 중 안전관리자 인건비, 안전시설비, 안전보건진단비 등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아래에서 혹한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 항목 한시적 확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혹한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 항목 한시적 확대 혹한기 기간(12월 ~ 2월) 건설현장 옥외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보호구 물품 관련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운영기준을 알려드리니, 건설현장 점검 · 감독 또는 건설 재해예방전문 지도기관 등을 활용하여 아래 내용을 적극 전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부 해당 공문은 아래 파.. 2023. 11. 23.
위험성평가의 방법 - 빈도 · 강도법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 활용)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빈도·강도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빈도·강도법은 우리 사업장에서 파악된 유해·위험요인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위험성의 빈도(가능성)와 강도(중대성)를 곱셈, 덧셈, 행렬 등의 방법으로 조합하여 위험성의 크기(수준)를 산출해 보고, 이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여부를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https://kras.kosha.or.kr)에서 기존에 5단계 방법이라는 이름으로 위험성평가 과정을 도와주고.. 2023. 10. 20.
위험성평가의 방법 - 핵심요인 기술법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핵심요인 기술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인 기술법 핵심요인 기술법은 영국 산업안전보건청(HSE),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위험성 수준이 높지 않고, 유해 · 위험요인이 많지 않은 중 · 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를 위해 안내한 내용에 따른 방법입니다. 단계적으로 핵심 질문에 답변하는 방법으로 간략하게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방법입니다. 전등교체, 부품교체 등 유해·위험요인이 적고 간단한 작업에 대해서는 한 장으로 위험성평가 내용을 기록.. 2023.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