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사고2 헷갈리는 위험성평가 대상, 2025년 개정사항으로 한 방에 정리! 위험성평가, 대체 어디까지 해야 하나요? 2025년 개정된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의 핵심 내용을 전문가가 꼼꼼히 짚어드립니다. 형식적인 서류작업은 이제 그만! 실질적인 안전관리의 시작, 그 대상을 명확히 알아봅시다.안녕하세요, 여러분! 건설안전 블로그 지기 안전지대장입니다. 제가 현장에서 일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위험성평가, 도대체 어디까지 해야 하는 건가요?"예요. 정말 공감되는 질문이죠. 법규는 복잡하고, 현장은 늘 바쁘니까요. 하지만 2025년부터는 위험성평가가 단순한 서류 작업을 넘어, 현장 안전관리의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특히 평가의 '대상 범위'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해졌죠. 그래서 오늘은 우리 현장의 안전을 책임지는 최고의 방패가 될 위험성.. 2025. 8. 1. 위험성평가의 대상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살펴보고, 위험하다면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대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성평가의 대상 위험성평가는 사업장 내의 모든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개선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위험성평가의 대상은 “업무 중 근로자에게 노출된 것이 확인되었거나 노출될 것이 합리적으로 예견 가능한 모든 유해·위험요인”이 됩니다. 이때 “업무 중”이란 매일 같은 장소에서 반복하는 작업 외에도 임시·수시로 하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오히려 비정형·임시·수시 작업의 경우 근로자들이 익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사고를 당하기 쉽기.. 2023. 9. 12. 이전 1 다음